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 공제 알아보기

by 메가홀리 2023. 10. 25.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 공제되는거 알고 계셨나요. 어디에 기부금을 지원했는지에 따라 세액 공제 금액이 달라지는데요, 오늘은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 공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기부금

 

연말정산을 앞두고 기부금이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직장인은 1년간 기부한 금액을 연말정산에서 환급받을 수도 있구요, 기업도 비용처리를 통해 법인세를 줄일 수 있답니다.

 

연말정산 기부금 대상은 종교, 불우이웃돕기 성금 등 모두 공제 대상이에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삼성전자도 이웃사랑 성금으로 500억을 기부하여 절세받은 내용을 볼 수 있죠. 시간이 지날수록 고액기부금에 대한 공제 혜택이 더 늘어나서 연예인, 일반인 모두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그렇다면 어디에 기부를 하면 더 좋을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기부금 세액 공제

 

기부금을 통해 세액공제 즉 환급이 가능하죠. 기부금의 15%의 소득 세액에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기부금으로 냈다면 연말정산에 150만원을 환급금으로 받게 됩니다.

 

어디에 기부하느냐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다르게 적용이 되는데요, 자세히 알아볼게요.

 

 

 

 

 

 

 

금액 (2천만원 초과)

 

앞에 언급했듯 고액 기부금 공제 혜택이 늘었났죠. 예전에는 3천만원 기준이 고액 기부금이였는데 지금은 2천만원으로 기준이 낮아졌어요. 그리고 공제율도 25%에서 30%까지 올라갔습니다. 예를들어, 4000만원을 기부한 직장은은 900만원까지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가 기부한 금액도 공제 대상입니다. 다만, 정치자금으로 이용된 기부금은 본인만 공제 받을 수 있고 부양가족이 낸 금액은 공제 혜택이 없습니다.

 

 

 

 

 

 

 

 

 

교회

종교에 낸 금액도 공제 받을 수 있을까요? 교회, 절, 성당 등 종교단체에 낸 기부금도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율은 15%지만 한도는 근로소득금액의 10%로 정해져 있어요. 예를들어, 교회에 자신의 소득 10%를 냈다면 그만큼 기부금 공제가 가능합니다. 근로소득이 5천만원인 직장인이 교회에 500만원을 기부했다면 내년 초 연말정산에서 최대 75만원 소득세를 환급받게 되는거에요. 혹은 기부금이 그 이상이여도 10% 한도가 정해져 있어 공제액은 변함이 없습니다. 참고하셔요!

 

 

 

 

 

 

 

사랑의 열매 기업 50%

기업도 직장인 처럼 일정금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법정기부금단체에 기부하면 소득금액의 50%가지 비용처리를 할 수 있지만 단체로 지정되지 않는 곳에 기부하면 비용으로 인정 받을 수 없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선 판매부대비용의 경우 100%를 손금으로 인정받는데 기부금은 소득금액의 10%나 50%까지만 인정되니까 오히려 혜택이 적은 편"이라며 "기업의 정상적인 기부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대책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마치며

 

연말이 다가오면서 기부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부금의 세액 공제가 상당히 크다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연예인들의 순수한 기부 마음도 있을 수 있겠지만 왜 기부금을 꾸준히 하는지도 알게 되는 것 같아요. 세액 공제가 커질수록 기부금도 늘어 날 수 있으니 좋은 취지라고 생각이 듭니다. 또한 직장인들도 부담을 조금 덜고 기부를 할 수 있어 추천하는 바 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