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연금 인상에 대한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총 1안과 2안이 나눠져 있으며 직장인 기준 얼마를 내야 하는지 그리고 예상 소진 시점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1월 15일 공개된 내용으로 연금보험료 개정안은 국회 검토 후 변동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 연금 보험률 인상
현행 | 1안 | 2안 | |
보험료율 | 9% | 13% | 15% |
소득대체율 | 42.5% | 50% | 40% |
예상 소진 시점 | 2055년 | 2062년 | 2071년 |
1안은 더 돈을 내고 더 받는 방안이며 노후 보장에 대한 장점이 있어요.
2안은 더 내고 덜 받는 방안으로 기금 유지를 하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월 소득이 3백만 원인 직장인이 원래 27만 원 국민 연금으로 납부를 했다면 인상 후에는 39-45만 원으로 인상이 됩니다.
인상 대상
작년 (2022년) 신고소득금액보다 현재 소득이 높은 사람은 연금보험료 상향 대상입니다.
소득대체율 이란?
위에 언급한 소득대체율이란 노후에 받을 수 있는 연금 수령액 비율을 말합니다. 즉 소득대체율이 50%라면 연금 가입 기간의 평균 소득에 대해 50%를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거죠.
국민연금의 필요성 혹은 가입 방법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연금공단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신고 포상금 종류 총정리 - 토토계좌,실업급여 부정수급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신고 포상금 종류 총정리 해보았습니다. 부정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면 신고하시고 포상금도 받으시기 바랍니다. 신고 포상금 종류 및 신고방법 신고 포상금 종
everydaymatters.tistory.com
댓글